본문 바로가기

검색

Twitter Search Done Right by PostPo.st 현재 가장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하면 페이스북과 트위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트위터와 관련된 이슈가 있어 소개할까합니다. 트위터에서 오래된 트윗을 검색하는 것은 정말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트위터 자체의 검색엔진이나 구글, 빙과 같은 탑 검색 엔진도 오래된 트윗 보다는 리얼 타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떄문에 몇일 전 트윗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습니다. 특히 트윗의 양이 많은 사람일 경우 본인이 몇 달 전에 한 트윗을 찾기 위해 마우스를 스크롤하는 것 정말 귀찮은 일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PostPo.st 이런 문제에 해답을 제시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PostPost 서비스에 가입하면 PostPost는 먼저 해당 사용자가 팔로우한 사람 중.. 더보기
Armed With Social Signals, Google Moves Back Towards Real-Time Search 오늘은 구글의 소셜 커뮤니티와 실시간 검색(Real-Time Search)과 관련된 포스트가 있어 이를 소개 합니다. 요약하면 구글은 소셜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구성원들의 실시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반영하여 시기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겠내요. 그럼 본격적으로 포스트 내용을 소개 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을 쉽게 이야기하면 링크가 많이 걸린 웹페이지를 상단에 뿌려주는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얼마 전 구글은 이 알고리즘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거라고 발표를 했는데요(약 검색의 35%정도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는 더 ‘신선한(fresher)’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올림픽이라고 검색을 했.. 더보기
다이퀘스트 검색개발팀장 DT발언대 [DT발언대] 조금 천천히 스마트해졌으면… 이용환 다이퀘스트 검색개발팀장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이제 일상화되다시피 하고, 소셜 커머스, 모바일 웹과 앱, 카카오톡 등을 모르면 시대에 뒤쳐지고 있는 게 아닌가 걱정이 들기도 한다. IT와 서비스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는 개발자의 한 사람으로서 역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종종 변화를 따라가는 것만도 벅차다고 느낄 때가 있다. 검색만 국한해 보자면, `식당'이라고 입력하지 않아도 점심시간이 돼서 스마트폰을 켜면, 가까운 맛집을 검색해주는 서비스, 내 PC가 오동작을 일으켰을 때 SNS를 통해 원인이 무엇인지 네트워크상의 전문가 의견을 바로 제공하는 서비스, 각종 포털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SNS 실시간 검색, 감.. 더보기
구글에서 이야기하는 2010년 검색 트렌드 오늘은 구글의 Matt Cutts이 이야기하는 2010년 검색 트랜드가 있어 전해드립니다. 크게 다섯 가지로 이야기 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검색 같은 경우는 아직 국내 검색 엔진 업체에서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는 부분 같아 보입니다. 1. New Types of Data Searches. 첫번째 이야기하는 트랜드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검색의 세분화입니다. 일반적인 웹 검색 엔진 같은 경우 현재 웹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짐에 따라 데이터 오버로드가 심한 상황이라고 하는대요. 이를 위해 구글에서는 현재 Google Book Search, Google Patent, Google Government Search, Google Blog Search 등으로 정보의 타입 별로 검색을 나누고 카테고리화 하.. 더보기